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사우디] 사우디 경제 및 에너지 동향('25.10.13.-24.)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11-05
조회수
29

(정보제공: 주사우디대사관)



사우디 경제 및 에너지 동향('25.10.13.-24.)



   

1. 일반경제, 금융 및 투자  

   

o 3,200억불 규모의 사우디 연기금 펀드인 Hassana Investment Co.는 사우디 국내투자은행인 Riyadh Capital의 전직 은행장인 Sabty Sulaiman Al-Sabty를 CEO로 임명(12.1일자 발효)함.

   

   * 동 연기금의 전 CEO인 Saad Alfadly는 Brookfield Asset Mgmt Ltd.의 사우디 운영 부문 체어맨으로 이직함.

   

  - Hassana Investment는 최근 사우디 국내 및 해외에서 투자활동을 급격히 늘리고 있으며, 동시에 사우디 시장으로의 진출을 원하는 국제 투자자들은 Hassana와 같이 사우디 정부 보유 지분이 높은 기관과 로컬 파트너쉽을 맺고 있음.

   

o 중동(걸프)에서 2022년 이후 사모펀드가 펀딩하는 IPO의 초기 주가 판매가 약 500억불에 이르는 가운데, 투자 금융계는 이를 새로운 투자기회로 고려하기 시작함.

   

- 중동(걸프)지역은 투자금융계에서 신뢰할만한 철수(회수) 시장(a credible exit market)으로 부상하면서, 보다 많은 사모투자펀드(buyout firms)들이 중동으로 옮겨가고 있음.

   

- 동 시장에서는 제한된 유동성 및 가치평가원칙(valuation discipline) 등이 아직 한계로 지적되고 있으나, 동 시장으로 움직이는 국제투자자들이 향후 가치관리 기강을 강화하고 기대수준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o 美 샌프란시스코 소재 PFG(Partners for Grown LP)가 사우디 사모신용(private credit)시장에서 새 대출투자를 급격히 늘리는 가운데, Tabby(사우디 핀테크 유니콘 기업)와 같은 사우디 하이테크 기업들에 동 사모신용대출의 혜택을 보고 있음.

   

- 글로벌 유동성이 타이트해지면서 사모신용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PFG는 중동지역에서 특히 사우디 시장에 집중(특히 고성장의 사우디 테크 기업)해 약 5천불 규모의 새 대출펀드(Sukna Capital)의 대부분을 투자(대출)함.

   

  - PFG의 이러한 사우디에서의 행보는 사우디 경제다변화 과정 속에서 부동산, 물류, 테크놀러지, 건설 등 여러 산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파이낸싱의 수요가 폭발하고 있으며 이에 베팅하는 사모신용기업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을 보여줌.


o 사우디가 (과거 사우디와는 제한된 비즈니스 관계를 유지한) 호주와 최근 협력관계를 급격히 강화해 나가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새로운 협력 모멘텀을 살려 최근 금속, 광산, 금융 등 다양한 부문에서 여러 비즈니스 딜을 성사하고 있음.

   

  - 사우디-호주 양국 관리들은 향후 개최될 Saudi-ANZUK 포럼(2일간)에서 양국간 무역, 협력, 투자 등을 논의할 예정임.

   

  - 사우디-호주 협력 관계는 아직 초기 단계이긴 하나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고려되며, 특히 호주 기업들이 광업, 농업 관련 산업, 헬스케어 부문에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어 향후 동 부문에 투자 포텐셜이 기대됨.

   

o Tradeweb Markets Inc.는 사우디에서 처음으로 규제(CMA 라이센스)되는 국내채권 전자거래시스템을 런칭(10.21)한바, 향후 사우디에서 채무증권시장(fixed-income marketplace)이 활성화되고 국제투자자들의 접근이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됨.


- BlackRock Inc., BNP Paribas SA, Goldman Sachs Group Inc. 등이 첫 트랜잭션을 실행하며 동 거래시스템의 런칭에 기여함.

   

- 동 거래시스템의 런칭은 대규모의 비용이 드는 사우디 경제다변화 프로젝트들의 핵심 파이낸스 소스 중 하나로서 사우디 부채자본시장(DCM, debt capital markets)을 개혁 개발하려는 사우디의 의지와 관련이 있음.

   

o 자금사정이 풍부한 중동 및 아시아의 국부펀드들이 올해 글로벌 거래규모가 3.5조불을 넘어선 M&A 시장에서 딜메이킹을 주도하고 있음.

   

- 싱가포르 GiC Pte, 아부다비 ADIA, Mubadala Investment Co. 카타르 QIA, 사우디 PIF 등의 걸프 및 아시아 국부펀드들이 올해 최대 규모의 딜을 연달아 성사해내고 있음.

   

o 美 Goldman Sachs Group Inc.은 사우디 시장에서 자산관리부서를 크게 강화하고 있는바, 중동 최대의 시장인 사우디에서 중동의 고액 자산가를 타겟으로 하는 대형 월가 금융기관간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음.

   

- 리야드에 중동 지역 본사 사무소를 개설한 골드만은 사우디 시장에서 국내 프라이빗 뱅킹서비스의 첫 단계를 런칭했으며, 향후 중동지역으로 동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해 현재 관련 채용을 활발히 진행 중임.

   

o 美 JPMorgan Chase & Co.는 월가 은행으로서 가장 최근에 사우디에서 RHQ(지역 본사 설립) 라이센스를 획득하고, 사우디에서 본격적인 영업활동을 확대함.

   

  - 다만 JPMorgan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의 운영내용은 여전히 런던의 허브 본사로 보고될 예정임.

   

  - 동 RHQ 라이센스 제도는 사우디 정부 계약 자격조건에 사우디내 지역본사 소재 여부를 포함시켜 사우디내 외국인 기업을 보다 많이 유치하려는 사우디의 노력임.

   

o 사우디 PIF가 자금지원하는 정부 소유의 Salic(Saudi Agricultural & Livestock Investment Co.)은 지분 매입을 통해 싱가포르 Olam Group Ltd.의 농업관련 사업부문(Olam Agri Holdings)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을 확보하고자 하고 있음.

   

  - 이미 Olam Agri Holdings의 대주주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Salic은 Olam Agri Holdings가 보유한 나머지 지분 20%를 매입할 계획임.

   

  - Salic의 이러한 행보는 사우디의 식량안보 전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우디는 식량 공급 확보 및 사우디로의 식량생산 공급을 촉진하기 위해 글로벌 농업 기업에 대한 투자를 진행 중임.

   

o 데이터 플랫폼 Magnitt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중동지역의 스타트업 기업들은 사상 최고액인 12억불의 펀딩을 모금함.

   

  - 동 3분기 펀딩모금액은 전기(2분기) 대비로는 약 60% 증가, 전년 동기 대비로는 거의 4배 증가한 규모로, 특히 1억불 이상의 대규모 메가 딜이 활성화되고 있음.


  - 최근 들어 사상 처음으로 해외투자자들이 국내투자자보다 더 많은 투자금을 풀고 있는바, 해외투자금은 동 스타트업 기업들이 해외로 사업 스케일을 확장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음

   

2. 에너지


o 美의 러시아 석유기업에 대한 제재가 발표된 후, 인도의 Reliance Industries Ltd.는 수백만배럴에 달하는 중동산 및 미국산 원유를 사들인 것으로 알려짐.

   

- Reliance는 美 WTI 외 사우디 Khafji, 이라크 Basrah Medium, 카타르 Al-Shaheen 등 다양한 종류(등급)의 중동 원유를 구매한 것으로 알려짐.

   

- Reliance는 10월 현물시장에서 적어도 (대부분 중동산 원유로) 천만배럴을 구매한 것으로 알려짐.

   

o OPEC 주축국인 쿠웨이트의 석유부 장관(Tareq Al-Roumi)은 시장의 요구(수요)만 있다면 OPEC은 추가 생산을 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설명함.

   

  - 동 장관은 러시아 에너지 산업에 대한 제재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함.

   

o IMF는 최근의 생산량 회복 및 유가 상승으로 사우디의 재정 및 유동계정(fiscal and current accounts)이 직접적 혜택을 입을 것으로 예상(10.21)함.

   

  - IMF 계산에 따르면, 사우디의 경우 일 약 1백만 배럴의 생산량 회복은 동 재정 및 유동계정 밸런스가 GDP의 2.3% -> 2.7%로 개선되는데 직접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IMF는 사우디 非석유경제가 올해 3.7%, 내년도 3.5%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올해 사우디 경제성장률 전망을 기존 3% -> 4%로 상향조정함.

   

o 씨티그룹 코모디티 전략부는 러시아-우크라이나간 긴장완화로 유가가 $50불대로까지 하락할 리스크가 있다고 전망함.

   

- 유가가 현재 기준(10.17일 기준) 보다 약 $10불 하락할 경우, 드릴링(drilling)을 지원하는 일부 정부지원 탐험 기업들은 이보다는 높은 유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는 美 셰일 산업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함.

   

- 또한 이러한 수준의 유가 하락이 발생할시, OPEC의 실제 리드국인 사우디가 가격 방어를 위해 입장을 전환할지, 아니면 낮은 유가를 주장해온 현 美 행정부의 요청에 동조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함.

   

o 아람코 트레이딩 사업부는 여러 저렴한 구리(copper) 트레이더사들을 채용해 메탈 및 재료(metals & materials) 산업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고자 하고 있음.

   

  - 아람코는 이미 Trafigura 그룹의 전 배터리용 메탈 트레이더인 Jack Gebler를 채용함.

   

  - 아람코 뿐 아니라 Mercuria Energy Group Ltd., Vitol Group, Gunvor Group 등의 에너지 트레이딩 기업들은 작년에 이미 메탈 시장으로 큰 사업 행보를 보였음.

   

  o (IEA 10월 국제석유전망) IEA는 가장 최근의 전망에서, 기존 초과공급 예측치를 상향조정하며, 2026년에 사상 최대 규모의 초과공급(a recor oversupply)가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함.

   

  - IEA는 초과공급 상황이 이미 해상 탱커들에 축적되고 있는 재고량으로 시작되고 있다고 설명함.

   

  - IEA는 세계석유공급이 내년에 약 일 4백만배럴 까지 수요를 초과할 것이라고 전망하며, 이는 연 기준 이례가 없는 수준이라고 설명함.

   

  - IEA는 이번 전망에서 올해 수요성장세 기존 예측치를 하향조정하고, 非OEPC 산유국의 올해 및 내년도 공급 예측치는 상향조정함.

   

o Amin Nasser 아람코 CEO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Energy Intelligence Forum에서 신흥시장국(개발도상국)이 주도하는 국제석유수요가 올해 및 내년에도 여전히 강건(stay robust)한 수준이며, 시장의 펀더멘달이 여전히 건전(strong)하다고 언급(10.13)함.

   

- 동 인사는 세계석유수요가 올해 및 내년에도 약 일 120만-140만 배럴의 속도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함.

   

- 동 인사는 동 포럼에서 아람코가 현재 일 1,200만 배럴의 최대생산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우디 석유추출비용이 배럴당 단 $2불이며, 가스부문에서 상당한 성장세를 이룰 것이라고 설명함.

   

3. 산업


o 美 휴스톤 소재 거대 부동산 개발·투자 기업인 Hines는 내년에 중동지역 내 가장 개발 및 건설이 활발한 사우디 시장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힘.

   

- Hines는 산업용, 오피스용 및 복합용도 개발 프로젝트 사업에 집중할 예정이며, 현재 새로 개설된 리야드 사무소에 기존 임원진 일부를 리로케이션하고 스태프 신규 채용을 진행 중임.

   

o 사우디는 국제테니스계에 대한 영향을 확대하고 있는바, 사우디가 자금지원하는 남자 테니스 부문 새로운 탑티어 토너먼트 아벤트는 2028년 초 ATP 투어에서 데뷔 예정임.

   

- 동 이벤트는 4대 그랑슬램(The Grand Slams) 바로 아래 랭크된, 1990년 개시된 10회 마스터스 1000 토너먼트가 될 것임.

   

o 사우디 항공사 사우디아(Saudia)는 10월 리야드 패션 위크에서 항공사 기재 로고(livery) 및 SV 대표레터(SV by Saudia)를 활용한 평상복 및 사무직 의복 콜렉션을 선보임.

   

- Saudia의 이러한 행보는 동 항공사가 국제비즈니스인사들 및 관광객을 유치하고자 하는 사우디의 행보에 적극 참여하고 있음을 보여줌.

   

o 사우디는 성지도시 메카를 현대화하고, 그랑 모스크 근처 위치에 수백만 명의 순례자를 추가 수용하기 위해, King Salman Gate라 명명될 대규모 개발 계획(Mega Mecca Expansion)을 가지고 있음.


- 동 개발 프로젝트는 1,200만 스퀘어미터에 이르는 해당 지역에 기도구역, 거주시설, 호텔 상업시설을 건설할 계획임.


- 동 프로젝트는 2030년까지 약 3천만 명의 외국인 순례자를 수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만큼, 2036년까지 약 3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됨.


4. 국제석유시장 및 유가 동향 (10.24일 기준, Brent $65.94, WTI $61.50)

   

o (주간 개요) 글로벌 초과공급 신호가 유가에 하방 압력을 더하고 있는 가운데, 10월이 끝나가는 현 시점에서 유가는 월 기준 3개월째 하락이라는 기록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됨.

   

- 그러나, 트레이더사들은 러시아 주요 석유생산자에 대한 美 새로운 제재가 미칠 영향(특히 인도로 흘러들어가는 러시아 석유공급의 변화)에 대해 평가 중임(10.24).

   

- 상기 美 제재는 생산 뿐 아니라 수출에 있어서도 향후 러시아의 원유공급 교란을 크게 강화할 것임. (Rystad Energy 지정학적 리스트 분석)

   

o (초과공급의 신호) 美-중 갈등의 완화되고 있는 가운데, 트레이더사 및 투자자들은 장기간 전망된 초과공급 상황의 실제적 증거가 시장에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고 고려함.

   

  - 해상 원유 수송량이 거의 사상 최고치에 이른 가운데, 이는 장기간 전망된 초과공급 전망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신호라는 의견도 있음.

   

o 우크라니아 휴전 상황 관련 현재까지 별다른 진전을 없으나 유가의 지정학적 요소들은 여전히 유가 하락에 기여(씨티 그룹은 우크라이나전 휴전이 유가를 50불대로 밀어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음.

   

o 美의 SPR(전략유 재고량) 리필 계획 소식에 유가는 10.21 소폭 증가했으나, 글로벌 초과 공급 전망 속에 국제유가는 guyswo 5개월간 거의 최저 수준을 기록 중임.

   

o IEA는 내년에 세계원유재고량이 최대 일 400만배럴 까지 수요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함.

   

o (美 원유재고량) 美 국내 원유재고량은 감소했다는 美 EIA 주간 발표 이후 초과공급 우려가 다소 완화되며 WTI 및 Brent 모두 상승(10.22)함.

   

o (러시아 석유제재) 러시아 관련 제재가 향후 상당히 증가(a substantial increase)할 것이라는 美 발표는 이번 주 유가 상승세(10.23일 일일 최고 상승폭 기록)에 크게 기여함.

   

  - 美가 러시아의 최대 석유기업들(Roseneft PJSC, Lukoil PJSC 등)을 블랙리스트에 올리면서 러시아 석유의 핵심 구매자인 인도가 러시아와의 계약을 파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함.

   

  - EU도 러시아 에너지 인프라를 타겟으로 하는 새로운 제재 조치 패키지(Rosneft, Gazprom Neft 관련 트랜잭션의 전면 금지 포함)를 소개하며 러시아에 대한 추가 압력을 더하는데 일조함.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