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체코] 주간 경제 동향 ('25.10.13.-24.)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11-03
조회수
89

(정보제공 : 주체코대사관)




체코 주간 경제 동향 ('25.10.13.-24.)



1. 국제통화기금, 25·26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상향 조정


  ㅇ 국제통화기금(IMF)은 10.14(화) 10월 세계전망 보고서를 통해 2025년 체코 경제성장률을 금년 봄 전망치 1.6%보다 0.7%p 높은 2.3%로 상향 조정하고, 2026년 체코 경제성장률을 금년 봄 전망치 1.8%보다 0.2%p 높은 2.0%로 상향 조정함(10.14. CTK 기사).


   - 아울러, IMF는 체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작년 2.4%에서 금년 2.5%로 상승하지만, 내년 2.3%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함.


2. 카발리렉 산업부 차관, D9+ 장관회의 참석(10.16-17)


  ㅇ 카발리렉(Jan Kavalirek) 산업부 차관은 10.16(목)-17(금) 포르투갈에서 개최된 D9+ 장관회의에 참석한바, 주요 내용 아래와 같음(10.21. 산업부 보도자료).


    ※ D9+(Digital 9 Plus) : 유럽의 디지털 기술·AI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설립된 그룹 / 16.9월 당시 Ann Linde 스웨덴 EU 담당 장관 주도 下 9개 회원국으로 구성, 이후 13개 회원국(체코, 포르투갈, 스페인, 벨기에, 덴마크, 스웨덴,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핀란드,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폴란드)으로 확대


   - 동 차관은 디지털 규제법률 간소화와 과도한 관료주의 타파, 디지털 혁신 환경 조성을 강조함.


   - 금번 회의에서 장관들은 △관료주의 타파 및 혁신 지원규정 단순화 △공공행정의 현대화 △디지털·AI 인프라 투자 조정 △범국민적 디지털·AI 기술 체계적 개발이라는 4가지 우선순위에 합의하여 유럽 내 디지털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의지를 재확인함.


3. 블첵 산업부 장관, EU 에너지장관회의 참석(10.20)


  ㅇ 블첵 산업부 장관은 10.20(월) 룩셈부르크에서 개최된 EU 에너지장관회의에 참석하여 △28.1월까지 러시아산 가스의 단계적 수입 중단 합의 △EU 전기화(Electrification) 제고 △우크라이나·몰도바 에너지 안보 강화 등 사안에 대해 논의함(10.20. 산업부 보도자료 및 CTK 기사).


    ※ 동 회의에서 러시아산 가스 수입의 단계적 중단 규정안에 관한 이사회(27개국 대표) 협상안이 확정됨에 따라, 26.1월부로 러시아산 가스 신규 수입계약 중단(1년 내 단기 계약은 내년 6월 17일 이후 종료, 장기 계약은 2027년 이후 종료·중도 파기), 28.1월부로 액화천연가스(LNG)를 포함한 러시아산 가스 수입이 전면 금지


   - 참석자들은 EU 에너지 자립성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블첵 장관은 체코 역시 EU의 對러시아 에너지 의존성 감축에 기여하고 있다고 언급함.


   - 동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금번 협상안에 반대한 슬로바키아가 체코로의 러시아산 가스 공급 차단으로 인해 난항을 겪게 될 경우, 체코는 슬로바키아를 도울 준비가 되어있다고 밝힘.


  ㅇ 한편, 동 회의 계기 유럽 원자력동맹(Nuclear Alliance) 회원국 간 회의에서 유럽 내 △핵연료 생산역량 확보 △에너지 체계의 상호연계 강화 등 주제가 논의되었으며, 블첵 장관은 유럽이 원자력 르네상스를 맞이하는 추세에 따라 원자력동맹 참여 당사국 수가 확대되고 있음을 긍정적으로 평가함.


4. 체코 바이오메탄 생산시설 2030년까지 100개로 확충 예정


  ㅇ 체코 바이오메탄협회(CZ Biom)는 10.19(일) 체코 내 바이오메탄 생산시설 수를 현재 12개에서 2030년까지 약 100개로 확충할 계획이라고 발표함(10.19. CTK 기사).


   - 이로써 체코 내 바이오메탄 생산량은 현재보다 최대 20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바, 업계 관계자들은 생산 속도 가속화를 위해 체코 정부에 바이오메탄 생산 보조금 입찰을 예정된 26.4월보다 조기 시행할 것을 요청함.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